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코딩테스트
- 문자열&연산자
- C++
- 알고리즘
- 자바스크립트
- 메모리 배리어
- 프로그래머스
- 제로베이스
- 백트래킹
- React
- MemoryBarrier
- 구조체
- 프론트엔드 스쿨
- N과 M(2)
- 구현
- 멀티스레드
- 코딩테스트 스터디
- c#
- socket
- 백준
- Server
- 완전탐색
- 제로베이스 프론트엔드 스쿨
- map
- JavaScript
- BFS
- 서버
- Algorithm
- leetcode
- dfs
- Today
- Total
Written
백준 / 2178 / 미로 탐색 / C++ / 알고리즘 문제풀이 / BFS 본문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78
2178번: 미로 탐색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www.acmicpc.net
큐에 좌표값을 저장해서 이동할 수 있는 곳이면 거리값들을 1씩 증가시키면서 마지막에 거리 정보를 저장한 배열의 [N][M]값을 출력하는 BFS탐색으로 문제를 해결해보았습니다.
그런데 첫번째 코드에서 메모리초과가 발생했습니다.
메모리제한이 192MB인데 , 배열의 크기도 크지않은데 어째서 메모리초과가 나는 것인지 ..궁금해 하다가 구글링 해본 결과 BFS를 사용할 때, 종종 발생하는 일이더라구요. 예를 들면 아직 (3,3)의 좌표는 방문하지 않은상태인데 갈 수 있는 곳으로의 조건이 판별되어 인접 좌표에서 중복으로 큐에 데이터를 push하게 되어서 (3,3)이라는 데이터가 큐에 여러개가 들어가있어 메모리 초과를 초래한다는 글을 확인했습니다. (siezeof()로 확인해보니 pair<int,int>라고 해봤자 하나에 8Byte수준인데 이것 때문에 메모리초과가 난다는 사실을 완벽히 이해하지는 못했습니다 .. ㅜㅜ VS에서 실시간으로 메모리 확인해보면서 체크해보려했는데 실패했습니다.) 그래서 미리 BFS함수 들어가기 전 (1,1)의 좌표를 방문처리하고 BFS안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좌표는 바로 방문처리를 함으로써 중복되는 좌표가 큐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드를 수정했더니 문제 없이 정답처리가 되었습니다 !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|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queue>
using namespace std;
queue<pair<int, int>> Q;
int N, M;
char map[101][101];
int dist[101][101] = {0};
int dx[4] = { 0,0,-1,1 };
int dy[4] = { 1,-1,0,0 };
bool visited[101][101] = {false};
void BFS()
{
Q.push(make_pair(1, 1));
while (!Q.empty())
{
auto cur = Q.front();
Q.pop();
int x = cur.first;
int y = cur.second;
//메모리 초과 당시 코드 -> 26번째 줄에서 visited[newX][newY] = true;
for (int i = 0; i < 4; i++)
{
int newX = x + dx[i];
int newY = y + dy[i];
if (map[newX][newY] == '1' && newX >= 1 && newY >= 1 && newX <= N && newY <= M && visited[newX][newY] == false)
{
Q.push(make_pair(newX, newY));
visited[newX][newY] = true; // 38번째 줄이 위에 26번째 줄에 존재했었음
dist[newX][newY] = dist[x][y] + 1;
}
}
}
}
int main()
{
cin >> N >> M;
for (int i = 1; i <= N; i++)
{
for (int j = 1; j <= M; j++)
{
cin >> map[i][j];
}
}
dist[1][1] = 1;
visited[1][1] = true; //메모리 초과 당시 코드에선 61번째 줄이 BFS안에서 해결되므로 없었음 !
BFS();
cout << dist[N][M] << endl;
}
|
cs |
* 스스로 생각해보고 구글링하며 작성한 내용이기 때문에 틀린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!
댓글로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(코드는 사이트에서 정상 채점처리 O)
'알고리즘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/ 2606 / 바이러스 / C++ / 알고리즘 문제풀이 (Union - Find) (0) | 2022.11.30 |
---|---|
백준 / 2606 / 바이러스 / C++ / 알고리즘 문제풀이 (0) | 2022.11.29 |
백준 / 1976 / 여행 가자 / C++ / Union Find 알고리즘 (0) | 2022.11.27 |
백준 / 4485 / 녹색 옷 입은 애가 젤다지? /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/ C++ (0) | 2022.11.25 |
백준 / 7576 / 토마토 / 알고리즘 문제풀이 / C++ (0) | 2022.11.01 |